![](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1.gif)
지난시간에 했던걸 알아보자
자바 사용하기 위해 설치해야될 도구
JDK - 도구 (JRE, JVM)
편집기 (메모장,IDE) -이클립스,VC,인텔리전스
프로그래밍?
OS명령어를 내려서 하드웨어를 동작 시키는 행위
.java (자바언어로 작성한 파일)
.class (자바언어를 컴파일하면 기계가 이해할수 있는 언어로 변환된 파일)
pakage란?
주 언어파일을 모아 둔 폴더
컴파일 vs 런타임
컴파일
사람이 작성한 언어가 기계어로 변환되는 시점
런타임
java명령어를 통해서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시점
data (단순히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컴퓨터에서 자료를 표현하는 방법은 0과1로 이진수로 표현한다. (우리가 사용하는건 10진수)
1비트 - 물리적인 단위
1byte (컴퓨터에서 처리하는 최소 용량)
1byte = 8bit
0 0 0 0 0 0 0 0 <ㅡ 8bit (1byte)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ㅡ16bit (2byte)
0 1 1 1 1 1 1 1 <ㅡ10진수로 127
0 0 0 0 0 0 0 0 <ㅡ 양수
1 0 0 0 0 0 0 0 <ㅡ음수
변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 초기화 = 값을 넣다.
기본 데이터 타입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 float double
논리형 = boolean
문자형 = char
정수형 Long과 실수형 Float은 접미사를 각각 L,l / F,f 를 붙여 주어야 한다.
●●●●●●●●●●●●
본문
상수와 형 변환에 대해 알아보자
상수(Constant)란? != 변수
원주율 3.14, 1년 12개월 등 변하지 않는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한 번 초기화 된 값은 변경할 수 없습니다.
예약어 final 키워드를 사용해서 상수라고 지정합니다.
★권장 사항
상수를 사용할 때는 대문자를 쓰고 연결에 단어는 _를 사용해서 연결한다.
ex) final int MAX_NUM = 1;
리터럴(Literal)란?
원래 10, 123, 3.14, 'A'와 같은 값들이 '상수'인데, 프로그래밍에서는 상수를 '값을 한번 저장하면 변경할 수 없는 저장공간'으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상수를 다른 이름으로 불러야만 했습니다. 그래서 상수 대신 리터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리터럴은 단지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상수'의 다른 이름일 뿐입니다.
형 변환 (Type Conversion)
목적
서로 다른 자료형 간에 연산등의 수행을 위해 하나의 자료형을 통일하는 것
종류
● 묵시적 형 변환 (Explicit Type Conversion) = 자동 형 변환
● 명시적 형 변환 (Implicict Type Conversion) = 강제 형 변환
※ 바이트 크기가 작은 자료형에서 큰 자료형으로 형 변환은 자동으로 이루어 짐
ㅡㅡㅡㅡㅡㅡㅡㅡ> 묵시적 형 변환(자동)이 가능하다
명시적 형 변환(강제)이 가능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
형 변환 Error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 조건문(if), 반복문(for, while) (0) | 2023.07.27 |
---|---|
JAVA - 연산자 (0) | 2023.07.27 |
JAVA - 컴파일시점 vs 런타임 시점 (0) | 2023.07.27 |
JAVA - 변수와 자료형 (0) | 2023.07.27 |
JAVA의 개념과 설치방법 (0) | 2023.07.24 |